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그리스 총선, 한숨 돌렸지만 우려는 여전
17일 실시된 그리스 2차 총선에서 구제금융 조건 이행을 공약한 신민당의 승리가 사실상 확정됐다. 이로써 그리스의 유로존 잔류 가능성이 높아져 요동쳤던 세계 경제가 다소나마 진정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그리스가 처한 상황으로 미루어 이미 선택의 폭에는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파국으로 치닫던 유로존의 운명이 잠시 한숨을 돌릴 만한 여유를 갖게 된 것뿐이다. 총선 결과에 관계없이 그리스 진출 외국 기업과 은행들이 투자 지분을 처분하거나 철수하는 등 탈출 행렬이 이어지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유로존의 위기가 그리스를 넘어 스페인과 이탈리아로까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스페인의 경우 국가 신용등급이 투기등급 직전 수준까지 떨어진 상태다. 독일과 프랑스를 비롯한 유로존 국가들이 역내의 금융시장 동요를 막기 위해 긴급자금을 마련키로 비상대책을 세운 것은 그만큼 상황이 어렵다는 것이다. 우선은 그리스와의 재협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구제금융 금리의 추가 인하와 상환기간 연장 방안이 조만간 재개될 전망이다. 아직은 유로존 사태는 이렇듯 유동적이다.

결국은 세계 각국의 공동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18일 멕시코에서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도 유동성 공급을 위한 공조 방안이 의제 테이블에 오른다. 각국의 중앙은행들도 자금 공급을 통한 시장 안정화 조치에 나서고 있다. 지난 2008년의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세계 경제가 한꺼번에 휘청거렸던 뼈저린 악몽이 생생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진국들의 획기적인 부채 축소 및 구조조정 노력이 따르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다시 불거져나올 문제다. 단기적인 경기부양책으로는 어차피 해결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우리도 그리스 사태를 강 건너 불구경 하듯이 한가하게 바라볼 입장은 아니다. 산정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다지만 가계부채가 벌써 1000조원 규모를 넘어섰고, 국가부채도 770조원에 이른다. 우리 내부적으로도 경제의 시한폭탄이 발화점을 향해 빠른 속도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그나마 돌파구 역할을 해주던 수출도 사정이 좋지 않다. 그런데도 정치권에서는 올해 말의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포퓰리즘 정책이 경쟁적으로 난무하니 걱정이다. 구제금융 사태로 허리띠를 조이느냐의 여부를 놓고 논란을 빚은 그리스 경우를 따질 것도 없다. 우리도 이미 한 차례 외환위기를 겪어보지 않았는가.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