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폭염으로 녹조 확산, 식수원 안전한가
전국 주요 강과 하천에 녹조 현상이 확산되면서 식수원 안전이 위협을 받고 있다. 지난달 말 북한강에서 발생한 녹조가 취수지인 팔당을 지나 서울시내 구간까지 번졌다. 낙동강도 하류의 녹조가 대구 지역까지 올라오는 등 상황이 심각하다. 강 근처에만 가도 악취가 코를 찌르고, 수도권 일부 지역에선 수돗물에 냄새가 난다는 민원이 잇따르고 있다. 악취를 내뿜고 수질을 악화시키는 자오스민의 농도가 기준치를 훨씬 초과한 것이다. 먹는 물은 안전한지 국민들은 불안하다.

환경 당국은 분말활성탄으로 자오스민을 걸러내고 최소한의 여과과정만 거쳐도 악취물질이 제거돼 식수 안전에는 별 문제가 없다고 한다. 설령 일부 악취가 남아 있다 하더라도 3분 정도만 끓이면 다 날아간다니 당국의 말대로라면 크게 염려할 것은 없어 보인다. 녹조 현상을 일으킨 남조류에서 인체 유해 물질이 발견되지 않은 것도 다행이다.

하지만 녹조 현상에 대처하는 당국의 인식은 너무 안이하다. 물론 녹조 발생의 근본 원인은 날씨다. 이번에도 지난봄부터 이어진 가뭄과 열흘 이상 계속되는 폭염으로 강의 수량은 줄고 수온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비가 와 수량이 불어나고 기온이 떨어지면 자연스레 해소될 것이다. 그렇다고 안전을 강조하며 하늘만 바라보고 있어선 안 된다. 지구 온난화와 기상 이변 등으로 녹조 현상은 이제 연례화됐다고 봐야 한다. 자연현상을 인위적으로 제어하기는 어렵지만 노력하면 피해는 얼마든지 줄일 수 있다.

안전하고 깨끗한 물 공급은 국가의 기본적 책무이며, 국민 복지와 민생의 시작이다. 우선 서울과 수도권을 비롯 전국 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 서울 수도권의 경우 정수장 37곳 가운데 불과 3곳만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다른 비용을 줄이더라도 안전한 식수 공급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수돗물 값을 올려서라도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다. 각종 난개발을 막아 식수원 주변 강으로 흘러드는 오염물질을 적극 차단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아울러 환경 시민단체들도 식수원 문제에 대해서는 과학적이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식품과 위생 안전은 사안을 조금만 부풀려도 국민들은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질 수 있다. 광우병 사태에서 이를 똑똑히 경험하지 않았는가. 정부 당국은 투명한 관련 정보 공개로 국민 불안감을 불식시키고, 만에 하나 유독성 물질이 발견됐을 경우에 대비한 국민행동 요령도 서둘러 만들어둬야 한다.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