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나타난 올해 상반기 외식물가 상승률은 6.7%나 된다. 기록적인 6월 소비자물가 6%보다도 높다. 대표적인 서민 외식 메뉴인 삼겹살과 짜장면, 짬뽕, 치킨, 라면, 피자 등 조사가 진행된 39개 품목 어느 하나 상승폭만 다를 뿐 오르지 않은 게 없다.
상황이 이쯤 되니 정부도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는 있다. 정부가 지난 5월부터 발표한 물가 안정 관련대책만 벌써 3차례다. 5월 말엔 민생안정대책으로 수입품 할당관세와 부가가치세 면제 등을 발표했고 6월에는 유류세 추가 인하를 골자로 한 당면물가 안정대책을 내놓았다. 이달 들어서도 ‘취약층 생계 지원’ ‘밥상물가 안정’ ‘취약층 복지지원’ 등 고물가 부담 경감을 위한 민생안정방안을 내놓았다. 매달 한 차례꼴로 발표되는 대책엔 물가잡기와 함께 서민의 고통을 덜어주는 내용까지 총망라됐다.
그럼에도 물가의 정점은 아직 멀었다는 게 중론이다. 실제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는 10월 “밥상물가가 안정될 것”이라고 말하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역시 “3분기 말이나 4분기 초가 물가상승의 정점이 될 것”으로 본다. 가을 찬바람이 불면 물가상승의 고삐가 잡힐 것이란 얘기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아래로 내려갔고 원자재 가격도 많이 내려간 데다 농작물 작황도 좋아질 것이란 게 근거다. 지난해 10월부터 물가가 치솟기 시작했으니 기저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희망사항일 가능성이 크다. 워낙 상승률이 높아 세율 조정의 효과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아직도 곳곳에 상승 요인이 여전하다. 우선 환율이 고공 행진 중이다. 1200원대 환율이 1300원대로 올라갔다. 수입물가 상승 압력은 그만큼 커진다. 공공요금도 인상이 예고돼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전쟁은 끝날 기미도 없다.
사실 전 세계적인 고물가와 고금리 상황은 개별 국가 차원에서 대처하기엔 한계가 있다. 누구나 인정하는 부분이다. 그렇다고 정부에 고물가 면죄부를 줄 수도 없다. 한정된 상황에서도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것은 정부의 임무다.
이제 고물가 시대가 일상이란 점을 모두가 인식해야 한다. 그래야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다. “필요한 것만 사겠다”는 정도로는 안 된다. 그 이상이어야 한다. 인터넷 가격 비교 사이트와 유통가의 세일정보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할인 혜택이 큰 지역화폐의 적극적 활용도 필요하다. 고물가 고삐가 잡히는 데에 적어도 1~2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