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한·UAE 자유무역협정, 新중동 붐 일으킬 계기로

한국 정부가 아랍에미리트(UAE)와 자유무역협정(FTA)의 일종인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협상을 최종 타결했다. 중동국가와 맺은 첫 FTA로, 내년 상반기 국회 비준 절차를 밟게 된다. 중동지역 핵심 국가인 UAE와 협력관계를 강화하면서 에너지안보는 물론 새로운 수출시장 개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UAE는 한국의 첫 번째 원전수출국(2009년 총 400억달러 규모)이자 포괄적 군사교류 협력국이다. 아크부대 주둔 이후 한국의 UAE 방위산업 수출액이 200배 넘게 증가할 정도로 전통적인 우방국이다. 양국은 이번 협정 타결로 각각 교역품목의 92.8%와 91.2%를 전면 개방하게 된다. 우리로선 최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으로 제3차 오일쇼크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안정적인 원유공급원을 확보할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성과다. 수입 원유에 관세를 부과하는 나라는 극히 드물어 원유 관세 철폐는 정유·석유화학기업들의 숙원이었다. 이번 협정으로 우리 정유·화학기업들의 수출경쟁력이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의 UAE 수출품 중 가장 규모가 큰 자동차에 부과하는 관세가 최장 10년에 걸쳐 완전 철폐되는 것도 고무적이다. 유럽 중국 일본 등과 치열하게 경쟁하는 상황에서 유리한 고지에 서게 됐다. 온라인게임, 의료, 콘텐츠 등 한국이 경쟁력을 갖춘 서비스 부문에서 최고 수준으로 시장을 개방하는 것도 의미가 크다. UAE는 중동에서 온라인게임을 가장 많이 즐기는 나라로 꼽힌다. 게임과 더불어 K-의료와 K-콘텐츠가 UAE에서 명성을 얻으면 중동지역 전역으로 시장을 넓힐 수 있다. 제조업보다 취약한 한국의 서비스 수출경쟁력을 높이는 발판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 밖에 5대 핵심 협력 분야에 포함한 바이오, 스마트팜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다.

지난해 한국의 총수출 6836억달러 중 수출상위 3개 국가(중국·미국·베트남)가 차지하는 비중은 47.8%, 반도체 등 10대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70.6%에 달했다. 일부 국가·일부 품목에 편중 되다 보니 중국과 반도체시장이 흔들리자 월간 기준 수출액이 지난해 10월부터 올 9월까지 1년 내내 감소세다. 시장을 다변화하고 품목을 서비스 부문으로 넓히는 것이 한국 수출의 지상과제인 상황에서 UAE와의 무역협정은 커다란 변곡점이 될 수 있다. 마침 사우디 카타르 등 석유부국은 화석연료 이후 시대를 대비해 신산업·신경제 기반을 다지려 천문학적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1970년대 오일 쇼크를 중동 건설붐으로 극복했듯이 한국경제가 지금 직면하고 있는 수출 침체와 저성장의 먹구름을 신중동붐으로 걷어내보자.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