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직거래 구축 등 절감 노력”
지난해 한우 소비자가격에서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인 ‘유통비용률’이 전년보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와 소비자 체감가격 간 괴리를 불러오는 요인으로 지목된 유통비용이 소비자가격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한 데 따른 것이다. 최근 정부가 유통비용 절감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지난 2022년 50%선을 뚫었던 유통비용률이 다시 40%선으로 내려앉을지 관심이 주목된다.
27일 축산물품질평가원의 ‘축산물 유통정보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우(거세 1+등급 1마리 기준) 유통비용률은 52.6%로 전년보다 0.4%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비용률은 유통비용을 소비자가격으로 나눈 값으로, 52.6%는 소비자가 마트에서 소고기 1만원어치를 샀을 때 유통비용은 5260원, 농민에게는 4740원이 돌아갔다는 의미다.
한우의 유통비용률은 지난 2019~2021년 돼지와 비슷한 48%대를 나타내다가 2022년 53.0%로 대폭 상승했다. 지난해에는 유통비용(-13.4%)과 소비자가격(-12.7%)이 모두 하락했는데, 유통비용이 더 큰 폭으로 내리면서 유통비용률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한우 유통비용은 931만6360원으로 전년 대비 13.4% 감소했다. 이중 임차료·인건비 등 고정비용을 의미하는 간접비가 429만8367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운송비·포장재비 등 물량 등에 따른 비용인 직접비는 168만6523원, 이윤은 333만1470원이다.
유통비용 절대가격 자체는 타 축종에 비해 높은 편이다. 우선 한우는 사육 기간이 약 30개월(290㎏)로 돼지(약 6개월·59㎏)나 육계(약 1개월·1㎏)보다 길고 사료비가 많이 투입되는 생산 특성이 있다.
생산자-우시장-도축장-중간도매상-도매상-유통채널-소비자 등 6~8단계를 거치면서 비용이 차곡차곡 쌓인다. 일반 농산물과 달리 전문인력이 필요한 도축·발골·정형 등을 반드시 거쳐야 하기에 인건비 등 간접비가 수반된다. 경매출하 비율이 높기에 경매를 거치면서 추가 비용도 발생한다.
이런 특성 탓에 산지가격 하락이 소비자 체감가격 하락으로 바로 이어지지 않는 배경에는 유통비용이 있다는 지적도 많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와 관련해 “한우는 지육 상태로 거래된 이후 가공작업과 운반, 보관 등에 일정한 유통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도매가격 하락률만큼 소비자가격이 하락할 수는 없다”면서 “유통비용이 소비자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 정도라는 점을 고려하면 최근 도매가격 하락분의 절반 정도가 최종 가격에 충실히 반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유통비용률만 놓고 보면 다른 축종이나 채소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 아니라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지난해 닭고기의 유통비용률은 전년보다 0.3%포인트 오른 59.0%, 돼지고기는 0.8%포인트 상승한 46.0%를 각각 기록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양파의 유통비용률은 76.3%에 달해 주요 품목 중 가장 높았다. 이어 가을 무(75.8%), 월동무(75.5%), 고구마(70.4%), 사과(62.6%), 감귤(61.9%), 봄무(61.0%) 등의 순이었다.
소고기(53.0%)와 동일한 50%대에는 마늘(54.0%), 배(53.9%), 봄감자(53.6%) 등이 있었고, 쌀(30.8%)을 제외한 모든 품목이 40% 이상을 나타냈다. 대체로 단기 수급 불안요인이 있거나 대체품이 적은 품목, 가격 상승 기대심리로 투기성 자금이 유입될 수 있는 품목 위주로 유통비용률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그럼에도, 보다 저렴한 한우 공급을 위해 유통비용 절감 노력을 이어간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정 수준의 유통비용 수반이 불가피하지만 그 안에서도 낮출 수 있는 건 낮추겠다”면서 “농협매장의 가격 선도 기능 강화와 직거래 체계 구축, 축산물 온라인 경매 확대, 온라인 부분육 경매 도입 등으로 유통비용을 축소하겠다”고 말했다.
양영경 기자
y2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