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미 겪어봤잖아요”…채권시장 재정지출에 수급부담, 금리인하 압박에 강세 기대도 [투자360]
채권시장, 트럼프 트레이드·레드 스윕까지 선반영
대규모 재정 지출 예고에 수급 부담 우려도
美연준 금리 속도조절에 “트럼프, 인하 압박할 듯”
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열린 선거의 밤 파티에서 지지자들에게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유혜림 기자]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글로벌 자산시장에선 단기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채권시장에선 ‘트럼프 트레이드’(트럼프 승리에 베팅)를 선반영해 온 터라 이번 대선 결과에 따른 급격한 추가 변동 우려는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다수의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인의 대규모 감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재정지출 확대로 이어져 글로벌 채권 시장에 수급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7일 금융정보업체 코스콤에 따르면, 6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의 30년물 국채 금리는 장중 4.676%까지 뛰며 2020년 3월 이후 하루 최대 상승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재정 지출을 예고한 ‘트럼프의 귀환’ 소식에 단기물보다 중장기물 국채금리가 더 상승하는 ‘베어 스티프닝’이 나타난 것이다. 여기에 상원과 하원을 모두 공화당이 장악하는 ‘레드 스윕’까지도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일단 채권 시장에선 큰 불확실성을 해소했다는 안도의 목소리가 많다. 최근 금리 상승세는 ‘트럼프 트레이드’를 반영하더라도 과도하다는 분석이 많았기 때문이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9월 중순 연 3.6~3.8% 수준을 나타내다 10월 들어 연 4.3%대까지 뛰어 올랐다. 이 기간 한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연 2.9%대에서 연 3.1%대로 상승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그간 채권 금리는 상방 압력에 시달렸다”면서 “트럼프의 외교정책 리스크, 보편 관세 부과, 재정적자 확대로 인한 대규모 채권 발행 우려 때문”이라고 했다. 이에 미 대선이 마무리를 향하면서 안정세를 되찾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상희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선 이후 불확실성을 해소하면서) 9~10월에 나타났던 채권에서 주식으로의 자금 움직임이 되돌려질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2016년 대선 직후와 같이 금리가 추가 급등한 가능성도 낮을 것으로 봤다. 김명실 iM증권 연구원은 “2016년 대선 때는 금리 인상 사이클이었지만 지금은 글로벌 금리 인하 시기”라며 “점진적으로 기준금리가 인하됨에 따라 시장금리의 급등 재현을 막을 체력도 생겼고 급격한 신용경색 이벤트가 나타날 가능성도 적은 편”이라고 했다. 또 당시엔 힐러리를 꺾은 트럼프의 당선이 예상 밖이었기에 시장 충격도 컸다는 의견도 있었다.

다만, 트럼프가 예고한 공약이 막대한 재정 지출을 수반한다는 점은 향후 수급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광범위한 감세 정책을 담고 있는 ‘감세와 일자리 법’(TCJA) 연장, 법인세율 추가 인하, 국방비 증가 및 국경 보안 강화 등이 대표적이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특히 트럼프 공약 중 재정적자 확대 기여도가 가장 큰 공약은 TCJA 연장”이라며 “해당 공약이 현실화되는 시점은 2026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선 ‘트럼프발(發) 수급 공포’가 과도하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채 발행이 당장 늘어나는 것이 아니며, 금리에 결정적 변수도 아니”라며 “기준금리 인하 기조가 지속되는 환경에서 유입되는 수요를 고려해보면, 미국 장기물 국채 금리가 올해 상반기 확인한 고점 또는 그 이상 오를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의 공약은 물가상승률을 낮게 관리해야 하는 연준과의 새로운 싸움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선거 공약에서부터 ‘정부 및 백악관의 금리 결정권 개입’을 강조해온 바 있다. 김완중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트럼프의 정책기조가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가 기존 전망보다 느려질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한 펀드매니저는 “과거 트럼프 1기에도 금리 인하 필요성을 강조했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경기 연착륙을 위한 금리 인하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한다. 시장참여자들도 금리인하 가능성에 좀 더 우위를 두고 기대할 것”이라며 “이는 금리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forest@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