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중 외교안보 대화 발표 없는 中…북러 정상회담에 복잡한 속내
푸틴 방북과 겹친 한중 대화…장쑤성 당서기 방한도 그대로
북일 물밑 접촉 국면에 기시다에 위문 전문…中에는 안보내
한중 고위급 교류에 민감한 北…북러 거리두며 北반응 고려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에서 양측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과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바오췬 중국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 [연합]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을 앞두고 개최된 한중 외교안보 대화와 관련해 중국 측은 19일까지 회의 결과와 관련한 내용을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어 배경에 주목된다.

올해 수교 75주년을 맞는 북한과 중국이지만, 북중러 구도에서 중국의 거리두기에 못내 섭섭한 북한의 최근 움직임을 고려할 때 중국이 로키(Low-key)로 상황을 주시하면서 복잡한 심경을 드러내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18일 오후 3시부터 개최된 한중 외교안보 대화는 만찬까지 이어지면서 오후 9시30분께 종료됐다. 우리 외교부가 회담 결과를 발표한 것은 19일 자정쯤이다.

우리 외교부는 차관급으로 격상되고 첫 회의인 만큼 비교적 상세하게 회담 결과를 소개했다. 특히 북러 정상회담을 앞둔 민감한 시기였지만, 한중 간 논의된 푸틴 대통령의 방북 관련 사항이 담겼다.

우리 정부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고 러북간 불법적 군사협력의 강화로 이어져서는 안 될 것이라는 단호한 입장을 표명했다”며 “러북간 군사협력 강화에 따른 한반도 긴장 조성은 중국의 이익에도 반하는 만큼, 중측이 한반도 평화·안정과 비핵화를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국 측은 “중국의 (對)한반도 정책에 변함이 없다”면서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고 우리 외교부는 전했다.

중국의 입장은 그동안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밝혀온 원론적인 입장이다. 다만 지난해 9월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 이후 밀월 관계를 이어오는 가운데 최근 중국의 입장에 미묘한 변화도 감지된다.

특히 이번 한중 외교안보 대화 개최 날짜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확인되기 전에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에도 북러 정상 만남이라는 ‘빅이벤트’와 날짜가 겹치는지만, 날짜 변경 요청 없이 계획대로 진행했다.

19일부터 20일까지 방한하는 싱창씽 중국 장쑤성 당서기의 일정도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 중국 지방정부 중 경제 규모가 두 번째로 크고, 정치적으로는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진입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장쑤성 당서기가 당국의 허가 없이 방한 일정을 진행할 수는 없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오른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019년 6월 북중정상회담 계기로 만나 두 손을 맞잡고 있다. [헤럴드DB]

북중 간 미묘한 관계 변화는 일찌감치 감지됐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올해 1월1일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7.6 강진에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게 ‘각하’로 호칭하며 위문 전문을 보냈다. 반면 같은달 1월23일 중국과 키르기스스탄 국경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해서는 위로 서한을 보내지 않았다. 북일 간 물밑 접촉이 진행됐던 것을 고려할 때 중국의 입장에서는 불편한 상황이었을 수 있다.

더구나 중국이 가장 촉각을 곤두세웠던 대만 총통선거와 관련해 북한이 공개적으로 성명을 발표하지 않은 것도 이례적이다. 북한은 우크라이나 전쟁 등과 관련해 러시아를 비호하는 성명을 공개적으로 발표했던 것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이상기류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최근 중국 다롄에서는 2018년 김 위원장의 방중 당시 시 주석과 함께 발자국을 본떠 설치한 동판이 아스팔트로 덮여 자취를 감춘 것으로 확인된 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북한이 한중 고위급 교류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했다. 지난달 1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이 열린 것과 관련해 박명호 북한 외무성 중국 담당 부상은 16일자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미국 주도의 반중국 군사동맹권에 솔선해 두발을 잠그고 나선 하수인의 신분으로 중국의 수도에 찾아가 ‘건설적인 역할’에 대해 운운한 것은 후안무치함과 철면피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비난했다. 해당 담화가 ‘중국 담당’ 실무자인 점을 고려할 때 굉장히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지난달 27일 한중일 정상회의 당일에는 정찰위성 발사를 감행하며 강하게 반발하는 한편, 공동선언 발표 두 시간여 만에 북한 외무성 대변인 명의의 담화를 통해 “한국이 무슨 '비핵화'와 '평화의 안정'에 대해 운운하는 것 자체가 지역 나라들과 국제사회에 대한 우롱이며 기만”이라고 반발했다.

한중 고위급 교류에 극도로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북한을 고려하면서 북러 간 ‘위태로운’ 밀착 국면에서는 한 발짝 떨어지고 있는 중국의 외교적 고심을 엿볼 수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 등 러북 협력이 강화되는 시점에 개최된 이번 한중 외교안보 대화는 개최 사실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크다”며 “김홍균 1차관은 이번 대화에서 러북 밀착에 대한 우리의 우려를 분명히 중국 측에 전달하고 건설적인 역할을 당부하는 중요한 기회로 활용했다”고 밝혔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