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매설 지뢰 유입 우려…발견시 군경에 신고”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17일 소집한 ‘북 도발 및 재해재난 대비 긴급지휘관회의’에서 “지금 우리는 북한의 도발 위협과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재해까지 대비해야 하는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북한군이 비무장지대(DMZ) 일대에서 지뢰매설 작업 중 부상을 입은 환자를 수송하는 모습. [국방부 제공] |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군이 다수의 사상자 발생에도 불구하고 대전차 방벽으로 추정되는 구조물 설치와 지뢰 매설 등 군사분계선(DMZ) 일대에서 작업을 지속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군 당국은 북한군의 이 같은 동향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대북전단을 빌미로 한 새로운 방식 대응 예고에 따라 대비태세를 강화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17일 소집한 ‘북 도발 및 재해재난 대비 긴급지휘관회의’에서 “지금 우리는 북한의 도발 위협과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재해까지 대비해야 하는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각 급 제대 지휘관들은 각자 제 위치에서 한치의 흐트러짐 없이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우리 국민과 장병들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임무수행간 충분한 휴식, 급식 등 세심한 부분까지 지휘노력을 경주해 달라”고 주문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17일 소집한 ‘북 도발 및 재해재난 대비 긴급지휘관회의’에서 “지금 우리는 북한의 도발 위협과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재해까지 대비해야 하는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북한의 기존 목함지뢰와 다른 형태의 나뭇잎 지뢰(왼쪽). [국방부 제공] |
북한군 동향과 김 부부장의 위협 등에 따라 대비태세도 강화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최근 김여정은 연속 담화를 통해 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대응방식 변화를 언급하면서 위협 수위와 강도를 고조시키고 있다”며 “군은 북한군 대남 오물풍선 살포 수단·방법 변화와 함께 민간단체 풍선 부양 시 총격 도발, 확성기 방송 시 총·포격 도발 사례 등을 고려 다양한 도발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군은 폭염과 장마에도 불구하고 전선지역에서 지뢰매설과 불모지 조성, 방벽 설치 등 작업을 수개월째 지속중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현재 DMZ 약 250㎞ 기준 불모지 작업은 약 10% 진도율을 보이며 방벽 설치는 약 1% 수준”이라면서 “지뢰매설은 수 만발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군은 임시형 천막 등에서 생활하며 휴일과 병력 교대 없이 하루 평균 12~13시간씩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며 “특히 10여 차례 지뢰폭발 사고와 온열손상 등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무리하게 작업을 진행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여군도 동원된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군 당국은 작업에 동원된 북한군이 우발적으로 귀순할 가능성과 작업 중 MDL 침범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17일 소집한 ‘북 도발 및 재해재난 대비 긴급지휘관회의’에서 “지금 우리는 북한의 도발 위협과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재해까지 대비해야 하는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북한군이 비무장지대(DMZ) 일대에서 지뢰매설 작업 중 부상을 입은 환자를 수송하는 모습. [국방부 제공] |
아울러 집중호우로 북한군이 매설한 지뢰가 유실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경계했다.
이와 관련 국방부 관계자는 “북한군이 지뢰를 매설한 지역 중 일부는 임진강과 역곡천, 화강, 인북천 등 남북공유하천과 연결돼 집중호우시 지뢰가 유실돼 유입될 우려가 있다”며 “남북공유하천 인근 활동시 유실 지뢰에 유의하고 지뢰 추정 물체 발견시에는 절대로 접촉하지 말고 가까운 군부대나 경찰서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북한군 매설 지뢰 중에는 기존 목함지뢰와 다른 나뭇잎 지뢰 등 새로운 형태가 식별되기도 했다.
shind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