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전구역 설치불구
코레일 국철은 미설치 많아
수천억 투입불구 사고 여전
서울시내 지하철 모든 역사에 설치된 스크린도어가 유독 코레일이 운영하는 국철 구간에만 빠져 있어 투신 등 안전사고로부터 시민을 보호하겠다는 취지가 반감되고 있다. 서울시와 코레일의 정책 엇박자로 수천억원의 예산을 들인 스크린도어가 빛을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 산하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9호선주식회사가 운영하는 모든 역사에는 2009년 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됐다. 2005년 사당역과 김포공항역에 스크린도어를 시범 설치, 2010년까지 전 역사로 확대하려던 서울시는 안전사고가 크게 줄어들자 당초 계획을 1년 앞당겨 2009년 설치를 끝냈다.
하지만 코레일이 운영하는 ‘국철’구간의 역사에는 스크린도어가 아직도 대거 설치되지 않아 투신 등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7~12월까지 6개월 동안 매월 한 건 이상씩 발생했다. 지하철 1호선 구간의 시작점과 종착점은 서울역~청량리역이며, 그외의 구간은 국철 구간이다.
또 지하철 1호선과 이어지는 경부선과 경인선, 경원선, 2ㆍ3호선과 연결되는 분당선, 3호선과 연결되는 일산선, 4호선과 연결되는 과천선과 안산선 등이 모두 국철로, 코레일이 관리ㆍ운영을 담당한다.
국철 구간 역사 총 182곳 중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사는 고작 37곳에 불과하다. 더구나 스크린도어가 없는 국철 역사 중에는 남영역, 신이문역 등 서울 도심과 가깝고 출퇴근 때 승객이 몰리는 역사가 많아 투신 방지 등의 목적으로 설치된 스크린도어 효용성은 크게 반감된다.
교통안전 시민단체 관계자는 “서울역에서 한 정거장 떨어진 도심인데도 남영역에는 스크린도어가 없다”면서 “계획을 앞당기면서 수천억원을 쏟아부은 스크린도어 안전망 시스템이 코레일 때문에 구멍이 숭숭 뚫리게 된 셈”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코레일 관계자는 “스크린도어 설치 예산은 한 해 100억원 정도인 데 비해 한 개 역사 설치비는 12억~13억원에 달해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김수한 기자 / soo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