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SKT 아이폰 출시..격랑의 통신시장
국내 1위 이동통신사업자인 SK텔레콤의 아이폰 출시 결정으로 국내 통신시장 판도는 급속히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지금까지 국내에서 아이폰을 판매해 왔던 KT에는 큰 위협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SK텔레콤의 전략적 밀월 관계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실제로 키움투자증권은 24일 낸 보고서에서 "SK텔레콤은 아이폰 경쟁력 확보와 그에 따른 1인당평균매출(ARPU)이 높은 가입자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반면 KT는 아이폰 독점에 따른 프리미엄이 제거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SK텔레콤 왜 전략 수정? = SK텔레콤은 그 동안 A/S 문제를 이유로 아이폰 도입에 유보적인 입장을 견지해 왔었다. 삼성과의 전략적인 관계도 SK텔레콤의 아이폰 출시에 부담이었다. 이런 SK텔레콤이 입장을 바꾼 데는 여러 배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SK텔레콤이 아이폰 출시를 미룬 명분으로 제시했던 애플의 AS 정책이 최근 점점 개선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국내에서 아이폰 A/S에 대한 불만도 최근에는 많이 줄어들고 있다.

삼성과의 전략적인 관계도 지난 해 갤럭시탭 출시 후 요금제를 둘러싸고 SK텔레콤 내부에서 삼성 일변도의 판매 패턴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1국 1통신사 정책하에 주로 각 국의 2위 통신사업자와 독점 계약을 해오던 애플의 원칙이 깨진 것도 불을 당겼다.

SK텔레콤 지배구조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 올해 SK텔레콤의 신규 등기이사를 맡은 최재원 부회장은 지난해 부터 아이폰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해 온 것으로 알려져 왔다. SK텔레콤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 최 부회장은 정만원 당시 사장과 임원진에게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라인업에 아이폰까지 갖춰야 SK텔레콤이 진정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자주 강조했었다"고 말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아이폰 대 갤럭시S’ 라는 양강 구도의 스마트폰 시장이 최근 들어 다양한 폰들이 출시되면서 다변화됐다는 점도 아이폰 출시에 힘을 실어준 요인이다. 시장의 변화에 맞게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기종의 스마트폰을 판매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다. 국내 1위 통신사업자로서 OS에 대한 편식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도 내부에서 강하게 제기됐다.

아이폰 때문에 충성도 높은 우량 고객들을 다시 가져와야 한다는 위기 의식도 작용했다. 실제로 아이폰을 먼저 도입한 KT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1월에 31.3%에서 11월 말 31.6%로 올라간 반면, SK텔레콤은 1월에 50.7%에서 11월 말 50.6%로 떨어졌다.

SK텔레콤은 KT의 아이폰 공세를 방어하기 위해 마케팅 비용만 3000억원 넘게 썼다. 이에 따라 작년 1분기 SK텔레콤의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14.8% 급감했고 지난 3분기에도 영업이익이 2분기에 비해 10.8% 감소했다.

▶스마트폰 시장 지각변동?=SK텔레콤의 아이폰 도입 결정은 이동통신 3사의 올해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SK텔레콤으로서는 올해 1월초부터 점진적으로 피처폰(일반폰) 약정 기간이 만료되는 약 1500만 명의 이용자를 아이폰으로 유인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 셈이다.

SK텔레콤의 아이폰4 출시로 KT와의 네트워크 진검 승부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그 동안 SK텔레콤은 갤럭시S로, KT는 아이폰을 내세워 스마트폰 데이터 이용량이 최고라고 홍보해 왔다. SK텔레콤의 아이폰 도입으로 양사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제대로 비교할 수 있게 된 셈이다.

SK텔레콤이 얼마의 가격대로 출시할 지도 관심이다. 다만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일반 휴대전화와 달리 가격이 고정된 상태에서 출시되기 때문에 큰 가격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KT는 내부적으로는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표현명 KT 개인고객부문 사장은 최근 ”경쟁사에서 아이폰을 출시한다 하더라도 KT가 그동안 쌓은 네트워크 운영 노하우와 데이터 운용 능력을 단기간에 따라잡을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KT경제경영연구소는 지난 말 낸 보고서에서 ”SK텔레콤이 아이폰5까지 확보한다면 4세대 롱텀에볼루션(LTE)에서도 SK텔레콤의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위치는 유지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최상현 기자@dimua>puqua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