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백두산 화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대화를 갖자고 제의한 배경과 향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서해상으로 남하한 북한주민 27명에 대한 송환 수용에 이은 북한의 ‘2차 대화공세’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6자회담 재개의 전제조건인 남북대화의 징검다리로 활용하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은 북한에 “구체적 조치를 취하라”며 기존 원칙을 재확인했다. 북한은 전날 오후 지진국장 명의로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와 현지 답사, 학술토론회 등 협력사업을 추진시켜 나가기 위한 협의를 진행하자고 우리 기상청장 앞으로 전통문을 보내왔다. 정부는 일단 북측의 제안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남북대화 재개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뜬금없은 ‘백두산 문제 협의’ 제의는 실제 백두산 화산폭발에 대한 우려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 화산 문제를 빌미로 남북대화를 유도하고 이를 발판으로 6자회담 재개 분위기를 띄우기 위한 전략적 의도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 최근 일본 동부 대지진으로 한미 양국은 물론 국제사회가 지진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 문제는 상대적으로 한미의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리는 분위기였다. 때문에 북한이 최근 국제사회 현안인 대형 자연재해에 부합하는 ‘화산’ 이슈를 들고나와 6자회담 전제조건인 남북대화부터 물꼬를 트겠다는 계산이라는 것이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남북대화가 막힌 상황에서 북측이 현실적이고 한반도 구성원들의 큰 관심사가 될 수 있는 백두산 화산 카드를 꺼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6자회담으로 가기 위한 북한의 ‘선(先) 행동’을 요구하는 미국의 입장은 여전히 단호하다. 마크 토너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17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최근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을 6자회담에서 논의하는 것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우리는 북한이 과거의 행동을 기본적으로 정리하고, 행동이 변했음을 보여주는 구체적 조치를 여전히 원한다”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 역시 천안함 폭침 1주년이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천안함ㆍ연평도 문제에 대한 북한의 사과와 책임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기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안현태 기자 @godmarx>pop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