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위기 대응
지난해 불거졌던 글로벌 금융위기는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다. 유럽 국가들의 재정위기는 어디로 번질지 모르는 상황이다. 1분기 분수령을 맞을 것이란 전망이 대체적인 가운데 시장은 1월 말 예정된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서 추가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글로벌 금융위기가 재연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특히 피그스(PIIGSㆍ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 아일랜드) 5개국의 1분기 국채 만기 규모는 이자를 포함해 모두 2075억유로(약 311조원)에 이른다. 현재로선 가장 큰 시한폭탄이다.
이와 함께 유럽 대형 은행들은 지난해 10월 유럽 정상의 합의로 올 6월까지 자본을 확충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Tier 1)을 9%로 높여야 한다. 우리 금융권의 외화 차입이 어려워진다는 의미다.
국내 은행의 외화차입처 중 유럽계 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30% 정도. 유럽계 은행의 대출금 회수 속도가 빨라질 경우 국내 은행권이 외화유동성 위기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국내 금융권은 외화 실탄을 대폭 늘리면서 위기에 대비하고 있다.
금융 당국은 우리의 외환 보유액으로 충분히 막을 수 있다고 밝히면서도, 급격한 외화 유출 가능성에 대비해 은행들에 외화 유동성을 추가로 확보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유럽 국가들의 신용등급 강등도 중요한 변수다. 스탠더드앤푸어스(S&P) 등 국제 신용평가사들은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의 신용등급을 강등할 수 있다고 압박하고 있다.
조동석 기자/dsch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