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이진용 기자] 안전행정부와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일제에 의해 강제동원됐던 피해자를 지원하는 공익단체,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정부로부터 설립 허가를 받아 정식 출범했다고 8일 밝혔다.
재단은 일제 강제동원 피해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복지 지원, 문화·학술사업, 희생자 추도·위령, 유해발굴·봉환, 역사기념관 건립 사업 등 기존에 지원위가 하던 기능 상당부분을 수행하게 된다. 위원회 활동기간이 2015년 6월 30일까지이기때문에 업무를 재단에 이관하는 측면도 있다. 재단 기금은 정부와 민간기업이 출연한다.
출범 첫해인 올해 재단에는 정부 예산 30억3000만원과 포스코가 3년에 걸쳐 출연하기로 약정한 100억원 중 1차분 30억원이 배정됐다. 일본 정부와 전범기업이 기금을 출연할 가능성도 있다.
재단은 당분간 한국도로공사나 한국전력 등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으로 경제협력자금 혜택을 받은 기업과 일본 정부, 일본 전범기업들을 상대로 모금 협의에 주력할 방침이다.
재단은 2012년 3월 유족단체와 학계 인사 등으로 구성된 설립 준비위원회가 발족했지만 이사 숫자와 임명방식 등 세부 운영안을 놓고 마찰이 빚어져 미뤄지다 2년만에 쟁점사안에 대한 합의가 이뤄져 27개월만에 빛을 보게 됐다.
임기 2년인 이사장은 준비위 위원장인 김용봉 인제대 의대 교수가 맡았다. 아울러 최봉태 대한변협 일제피해자특별위원장, 선태수 일제강제연행한국생존자협회 회장 등 총 12명의 이사가 선임됐다.
재단은 사무실을 종로구 수송동에 있는 이마빌딩에 차렸고, 17일 첫 이사회를 열 예정이다.
한편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가 6일 기자회견을 열어 강제동원 피해자와 유족 252명이 작년 말 미쓰비시중공업 등 일본 3개 기업을 상대로 임금 및 배상금 청구소송을 제기한 사실을 공개하며 일본 기업들에 조속한 배상 합의를 촉구한 바 있어, 재단 출범과 함께 이 소송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jycaf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