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에 따르면 소비자원이 최근 3년간 미용성형수술 및 시술(이하 ‘성형수술’)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32.3%(323명)는 성형수술 후 불만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7.0%(170명)는 실제로 부작용을 경험했으며, 비대칭이 9.4%(94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흉터ㆍ화상 5.7%(57명), 염증ㆍ감염 3.6%(36명), 색소침착 2.2%(22명), 통증 2.1%(21명)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수술 부작용 발생여부와 그 내용에 대해 제대로 설명을 들은 경우는 32.9%에 불과했다.
성형수술 동기로는 ‘단순 외모개선’이 72.5%(725명)로 가장 많았고 ‘취업ㆍ승진’ 14.5%(145명), ‘주변의 권유’ 11.9%(119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한 수술(복수응답)은 쌍꺼풀 등 ‘눈 성형 수술’ 67.8%(678명), 필러ㆍ보톡스 등 ‘피부를 절개하지 않는 시술’ 27.4%(274명), ‘코 성형 수술’ 25.6%(256명), 안면윤곽ㆍ양악 등 ‘얼굴 성형 수술’ 11.0%(110명) 등의 순이었다.
성형수술을 처음 한 나이는 20대가 61.8%(618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 22.1%(221명), 10대 10.5%(105명), 40대 이상 5.6%(56명)의 순이었다. 특히 10대의 경우, 19세가 전체의 46.7%(49명)로 가장 많았고, 가장 어린 연령은 14세(3명)였다.
응답자 중 30.4%(304명)는 성형광고를 보고 병원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형광고를 접한 주된 경로(복수응답)를 확인한 결과, 버스ㆍ지하철 차량 내부가 56.8%(568명)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 인터넷포털사이트 41.0%(410명), 지하철 역사 내부 38.3%(383명), SNS 24.5%(245명), 문자메시지 19.4%(194명), 온라인커뮤니티 15.1%(151명), 모바일 앱16.6%(166명) 등의 순이었는데, 상당수가 ‘의료광고심의위원회’ 사전심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매체였다.
이들 매체에서는 ▷부작용 등 중요정보를 누락한 수술 전후 비교 광고 ▷가격할인 이벤트 광고 ▷객관적 근거 없이 수술 효과를 강조하는 광고 ▷수술경험담 형태의 광고 등 의료법에서 금지하는 광고가 상당수 확인됐다.
한편 2011년 1월부터 2014년 9월까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성형외과’ 관련 소비자상담은 총 1만6354건으로 나타났다.
2011년 4045건, 2013년 4806건, 2014년 9월까지 3763건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다.
사유별로 보면 ‘성형수술 결과에 대한 불만족’이 69.5%(1,1367건)로 가장 많았고, 계약금 환급 거절 등 ’계약 해제ㆍ해지 관련 불만’ 22.1%(3,612건), 현금결제 요구 등 ‘병원의 부당 행위에 대한 불만’ 3.2%(526건) 등의 순이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성행중인 불법 성형광고에 대한 법집행을 강화하고 의료광고심의위원회의 사전 광고 심의대상을 확대하도록 관계 부처에 제도개선을 건의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성형수술은 성형외과 전문의뿐만 아니라 의사 자격을 갖추면 할 수 있으므로 병원 선택에 주의하고, 특히 성장기에 있는 10대 청소년의 미용성형은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감안해 보다 신중하게 수술을 결정해야한다”고 당부했다.
oh@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