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AI연구 제대로 하려면 최대 주 80시간은 일해야”
-SW정책硏 AI인재포럼 개최
-윤세영 카이스트 교수 ‘주 40시간’ 규정 지적
-해외처럼 자유로은 기업·학교 겸직 허용 강조
-정부는 모델 개발자 양성, 기업들은 인프라 개발자 호소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AI 강국’을 천명하며 정부가 3년내 인공지능 대학원을 20개까지 설립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현재 근로시간 규정으로 AI 연구에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는 학계 주장이 제기됐다.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경기도 판교 연구소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AI 인재양성 포럼’에서 윤세영 카이스트 교수는 “아무리 학교에서 국내 최다 AI 교과목을 개설하고, 전학생 경험을 목표로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을 개설해도 주 40시간 근무 규정이 발목을 잡고 있다”며 “학생들이 국내 회사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면서 규정에 맞춰 학교에서 연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논문 제출 직전에는 주 80시간 이상의 근무가 필요하다. 주40시간 제한은 논문 연구를 해야 하는 대학원생들에게 치명적인 규정”이라며 심도 있는 AI연구를 위해 근로시간 규정의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세계적인 AI 연구소로 꼽히는 캐나다의 MILA, 프랑스의 INRIA 등은 근로시간 규정 없이 자유롭게 AI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최근 근로시간 규정으로 학생들의 인턴 계획이 취소되기까지 했다”고 말했다.

앞서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이 “인공지능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대부분의 산업과 일자리가 글로벌 경쟁에 노출돼 있다”며 “주 52시간제의 일률적 적용 등 경직된 법적용에서 탈피해 대학의 다양화를 바탕으로 인재를 성장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라”고 정부에 권고한 데 이어, 과학 분야 국내 대표 대학에서도 정부의 획일적인 근로시간 규정 적용을 비판한 것이다.

이와 함께 미국 사례처럼 AI인재들이 기업 연구소와 학교에서 자유롭게 겸직할 수 있도록 허용돼야 AI산학협력이 강화될 수 있다고 윤 교수는 밝혔다.

실제 미국에서는 주요 AI인재들이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 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스탠포드대, 뉴욕대, 미시건대 등에서 연구도 겸하고 있다.

문 대통령도 전날 네이버 AI 컨퍼런스 데뷰에서 “대학교수의 기업겸직도 허용해 세계 최고의 인재들이 우리나라에 모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서울과 판교 등에 대형 연구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AI관련 기업과의 공동 연구공간이 마련돼야 한다고 윤 교수는 주문했다.

이날 포럼에 산업계 대표로 참석한 김준기 래블업(Lablup) 최고기술책임자(CTO)는 “현재 정부는 머신러닝 모델 개발자 양성에 주력하고 있지만, 실제 머신러닝을 유의미하게 기존 서비스나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델 개발은 아주 일부분을 차지할 뿐”이라며 “정작 현장에서는 머신러닝 인프라 개발 인력이 훨씬 많이 필요하다”고 정부와 현장에서 AI인재에 대한 간극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AI인재를 기르기 위해서는 머신러닝 알고리즘 원리 자체보다는 데이터를 수집·가공할 때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통계 기초교육이 더욱 필요하고, 머신러닝과 딥러닝에 기반한 AI가 어떤 문제에서 더 잘 작동하는지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