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월 사업체 종사자 3년2개월만에 최소...4월 실질임금 1.4% ↑
서울 종사자 수 '나홀로 감소'…채용 줄고 이직 늘어
4월 임금 증가율 4.3%…물가 반영한 실질 증가율은 1.4%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지난달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 증가 폭이 3년 2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4월 물가를 반영한 임금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1.4%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5월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총 2013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0.8%(16만2000명) 늘었다. 사업체 종사자 수는 2021년 3월 이후 39개월 연속 증가세지만, 증가 폭은 2021년 3월(0.4%) 이후 가장 작았다. 증가 폭은 3월 0.9%에서 4월 1.0%로 소폭 늘었으나, 한 달 만에 하락 전환했다.

상용근로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6만9000명), 임시일용직근로자는 4.2%(8만1000명), 기타종사자는 1.0%(1만2000명) 증가했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상용 300인 미만은 1675만3000명으로 0.8%(13만명), 300인 이상은 337만9000명으로 1.0%(3만2000명) 늘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3.8%),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2.1%),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5%) 순으로 많이 증가했다.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1.8%), 교육서비스업(-1.1%),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0.6%)은 감소세를 보였다.

5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 지역별 종사자 수는 서울만 감소했다. 종사자 수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3.6%), 경남(2.3%), 경기(1.6%) 순이었고, 서울은 0.4% 줄었다.

5월 중 입직자는 91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2.5% 감소했고 이직자는 88만2000명으로 0.5% 늘었다. 입직률은 0.2%포인트 하락한 4.8%, 이직률은 1년 전과 비슷한 4.7%로 집계됐다. 채용으로 인한 입직은 87만5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기타 입직은 3만7000명으로 24.8% 감소했다. 이직 중 자발적 이직은 29만4천명, 비자발적 이직은 54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각각 1.0%, 1.9% 증가했다. 지역별 입·이직자는 경기(입직 24만4000명, 이직 23만명), 서울(입직 17만3000명, 이직 17만3000명), 경북(입직 5만2000명, 이직 5만3000명) 순으로 많았다.

4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 총액은 386만6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4.3%(16만원) 증가했다.

상용근로자 임금을 내역별로 보면 정액급여는 351만7000원으로 3.5%, 초과급여는 23만9000원으로 9.4%, 특별급여는 34만3000원으로 10.8% 늘었다. 물가 수준을 반영한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은 339만1000원이었다. 지난해 4월보다는 1.4% 증가하며 한 달 만에 다시 상승 전환했다.

한편 4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59.4시간으로, 1년 전보다 4.8시간(3.1%) 늘었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