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배터리, ‘中 텃밭’ LFP 분야 추격 나선다…“점유율 격차, 기술력으로 극복”
캐즘 극복 위한 수단으로 LFP 선택
“에너지밀도 개선 LFMP 배터리 등 주목”
LFP 배터리 이미지 [LG에너지솔루션 홈페이지]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국내 배터리 업계가 전기차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수요 정체)을 돌파할 수단으로 가성비 배터리인 리튬인산철(LFP) 시장에 본격 뛰어들고 있다. 현재 이 분야 글로벌 시장을 장악한 중국 업체와의 기술력 경쟁이 향후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LFP와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의 가격 차이는 작년 3분기 29%, 4분기 32%, 올해 1분기 33%로 꾸준히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LFP 배터리는 고가의 니켈, 코발트 대신 저렴한 인산철을 채용해 원가가 낮은 데다 안정성이 높고, 수명이 상대적으로 길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저가 전략을 고수해온 CATL, 비야디(BYD) 등 중국 기업들은 LFP 배터리에 주력해왔다.

국내 기업은 주로 NCM 배터리를 개발해왔다. LFP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낮아, 주행 거리에서 NCM 배터리 대비 70∼80% 수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캐즘 장기화로 완성차업체(OEM)가 보급형 전기차에 힘을 실으면서 LFP 배터리 탑재 비중이 점차 늘어가는 추세다. 폭스바겐, 제너럴모터스(GM), 테슬라, 현대차 등 주요 OEM이 이미 LFP 배터리를 채용했고, 리비안, BMW, 스텔란티스 등도 도입을 서두르는 모습이다. K배터리 3사도 LG에너지솔루션이 2025년 하반기, 삼성SDI와 SK온은 2026년 양산에 들어가며 발을 맞춘다.

문제는 국내 기업이 LFP 배터리를 본격 양산하는 시점이면 중국 기업이 LFP 시장을 완전히 장악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김광주 SNE리서치 대표는 지난 24일 열린 이차전지 전문 콘퍼런스 ‘KABC 2024’에서 “국내 기업 양산 전에 중국 업체가 계약을 가져갈 가능성이 크고, OEM은 한 번 배터리를 도입하면 쉽사리 교체하지 않는다”면서 “이는 한국 배터리 기업이 직면한 큰 과제”라고 우려했다.

공급망까지 확보한 중국을 상대로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남상철 포스코홀딩스 센터장은 “LFP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이 아닌 국가가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고 봤다.

이에 국내 주요 배터리 기업들은 LFP에 망간을 추가해 에너지 밀도를 개선한 LFMP(리튬인산망간철) 배터리를 개발하는 등 기술력을 강조한다는 계획이다.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은 “중저가 제품, LFP 배터리 등에 대해 좀 늦은 상황이다”라면서도 “연구능력, 기술력으로 빠르게 따라잡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자신감을 내비췄다. 이존하 SK온 부사장도 “LFP는 이미 개발돼 있고, 코스트(가격)적인 측면에서 여러 가지 보완할 것이 있어 그 부분을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zzz@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